본문 바로가기

서울 동작구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소 일정 총정리

미미08 2025. 3. 25.
2025 동작구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소·투표법 총정리

 

한 표가 바꾸는 동작의 미래, 지금 준비하세요

2025년 4월 2일, 서울 동작구에서는 기초의원 재보궐선거가 치러집니다. 이번 재보선은 단순히 자리를 채우는 선거가 아니라, 향후 정치 지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'미니 총선'으로 불리고 있죠.

 

 

그런데 아직도 “어디서 투표해?”, “누가 나와?”, “공휴일인가?” 궁금한 점이 많으시죠?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동작구 사전투표소 위치부터 투표 절차, 후보 정보, 유권자 체크리스트까지 완벽하게 정리했습니다.

 

여러분의 한 표가 동작구의 변화, 서울의 미래를 만듭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재보궐선거란 무엇인가요?

  • 재선거: 선거 무효로 다시 치르는 경우
  • 보궐선거: 당선자가 사망·사퇴 등으로 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

동작구는 기초의회 의석 중 하나가 공석이 되어 구민의 선택으로 다시 채워지는 선거가 열립니다.

 

후보자 명단

 

2025 재보궐선거 주요 일정

구분 일정
후보 등록 3월 13일 ~ 14일
선거운동 기간 3월 20일 ~ 4월 1일
사전투표 3월 28일(금) ~ 29일(토) (오전 6시 ~ 오후 6시)
본투표 4월 2일(수) (오전 6시 ~ 오후 8시)

 

※ 4월 2일은 공휴일이 아닙니다. 사전투표를 미리 계획해보세요!

 

 

 

동작구 사전투표소 위치 안내

  • 상도2동 주민센터: 2층 다목적회의실 (서울 동작구 상도로 211)
  • 상도4동 주민센터: 3층 다목적홀 (서울 동작구 양녕로27길 44)

노량진동, 상도동, 사당동, 흑석동, 대방동, 신대방동 등 동작구 전 지역 주민은 인근 사전투표소에서 자유롭게 투표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투표 방법 요약

사전투표 vs 본투표, 무엇이 다를까?

항목 사전투표 본투표
기간 3/28~29 (금~토) 4/2 (수)
시간 06:00 ~ 18:00 06:00 ~ 20:00
장소 전국 어디서나 가능 주소지 관할 투표소
필요한 것 실물 신분증 필수 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, 모바일운전면허증 등)

투표 절차

  1. 사전투표소 방문
  2. 신분증 제시 → 본인확인
  3. 투표용지 수령
  4. 기표소에서 기표
  5. 관내 투표자는 바로 투표함 투입, 관외는 봉투에 밀봉 후 투입

 

 

이번 선거, 왜 중요한가요?

이번 동작구 재보선은 단순한 보충 선거가 아닙니다. ● 향후 총선·대선을 가늠하는 민심 바로미터
● 정당별 지지율과 중도층 흐름을 결정
● 정계 재편 가능성까지 포함된 의미 있는 선거

참여율이 낮을수록 특정 정당·조직의 표가 강해집니다.
즉, 나의 한 표가 실제 당선 결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단 뜻입니다.

 

 

 

유권자 체크리스트 ✅

  • ☑️ 내가 동작구 유권자인지 확인
  • ☑️ 사전/본투표 일정 미리 파악
  • ☑️ 사전투표소 위치 미리 확인
  • ☑️ 후보자 정책과 이력 체크
  • ☑️ 신분증 준비 (실물만 인정)

 

자주 묻는 질문 (Q&A)

Q1. 선거일이 쉬는 날인가요?

A. 아닙니다. 공휴일이 아니며, 직장인은 투표 시간 요청 가능합니다.

Q2. 신분증 없으면 못하나요?

A. 네. 실물 신분증이 없으면 투표 불가입니다. 모바일운전면허증은 OK, 스크린샷은 X

Q3. 사전투표와 본투표 중 뭐가 나을까요?

A. 동일하게 유효합니다. 단, 일정이 바쁜 분들은 사전투표가 더 유리합니다.

Q4. 후보 정보는 어디서 확인하나요?

A.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→ ‘후보자 정보’ 메뉴에서 공약, 학력, 재산 등 확인 가능

 

댓글